인프라 강의
  • 프로그래밍
  • 초급

Essential infra : 8시간으로 완성하는 필수 클라우드 & IT 인프라

인프라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개발자에게도 필수로 요구되는 인프라 지식을 단 8시간으로 압축. 국내 유일 AWS 프로젝트 기반의 IT 인프라 강의 !

바로 수강
수강 기한
평생 수강
  • 온라인
    총 45강, 약 07시간 54분

IT 인프라 지식은 많은 경험이 필요합니다.
10년간의 노하우를 모두 담았습니다.

클라우드 시대에 개발자 · 엔지니어가 알아야 하는 인프라 지식!

강의소개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 지식!
8개의 섹션으로 필요한 파트만 빠르게.

인프라 강의

01. 국내 유일, AWS 프로젝트 실습 기반 인프라 강의!

인프라는 분야가 세분화 되어있어, 제로베이스에서 공부를 시작하기 어렵습니다. 인프라를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를 시작해야 할 지’에 대한 고민을 덜어 드리기 위해 인프라의 다양한 내용을 8가지 Section으로 카테고리화하여, 그 중에서도 꼭 필요한 내용만을 강의에 담았습니다. 빠른 시일 안에 효율적으로 인프라에 대한 개념 확립부터 Amazon Athena를 활용한 분석,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등과 같이 배운 개념을 토대로 기술을 직접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02. 프로그래밍에서 풀리지 않던 문제, 인프라로 해결!

개발을 하면서 “이 코드 잘 돌아가는데, 왜 돌아가는거지?”라는 생각을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 결국 작동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추상화된 인프라의 내부를 파헤쳐야 합니다. 현재 대부분의 인프라 강의들은 IT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초적인 인프라 지식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강의는 기초적인 인프라 지식에 더불어 1~3년차의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인프라 엔지니어, 데브옵스 엔지니어에게 실무에서 필요한 실습 기반의 인프라 기술을 다룹니다. 특히나 개발자는 인프라를 알게 되면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인프라 구성을 통해 쉽게 개선하는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03. Backend, DevOps, Infra 등 인프라를 10년 이상 경험한 엔지니어들과!

각광받는 IT 기업에서 백엔드 개발자, 데브옵스 시스템 엔지니어, 솔루션 아키텍트 경험을 모두 보유한 2명의 10년차 엔지니어들에게 인프라의 기본 지식부터 실무에서의 경험을 압축한 내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개발과 엔지니어 파트를 모두 경험한 엔지니어분들로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는 분들이 인프라를 공부하며 어려웠던 부분, 그리고 궁금해했던 부분들을 모두 캐치해 강의를 구성하였습니다.


본 강의에서
무엇을 얻어갈 수 있나요?

코드 이외의 전반적인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인프라 핵심 가이드라인

  • DB, 서버, 네트워크, 보안 필수 지식

    인프라에 대한 기본 베이스

    기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클라우드 베이스, Solution Architect, DevOps 등의 자격증은 제로베이스로는 취득하기 어려운 자격증입니다. 인프라에 대한 기본 베이스를 쌓게 되면 IT 인프라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실 때 도움이 됩니다.

    인프라 강의
  • 배포, 대시보드 구축 Hands on

    실무 기반의 IT 인프라 관리 기술

    다양한 실습을 통해 수강하시는 분들이 실무에서 사용해보지 못한 기술들을 다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쿠버네티스를 통한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부터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대시보드 구축 등을 직접 실습해 볼 수 있습니다.

    인프라 강의
  • 클라우드 기반의 프로그래밍 기술

    개발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

    지금까지는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의 경계가 명확했지만, 분산 환경의 방식이 온프레미스 방식에서 클라우드 방식으로 변하며 이제는 개발자도 인프라 지식이 필요해졌습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 가상화, 스토리지 등에 대해 배움으로써 더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하고 개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인프라 강의

현직 클라우드 엔지니어들의 10년간의 개발 · 인프라의 경험을 모두 담아
8시간으로 압축하였습니다.


본 강의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1

필수 인프라 개념
+ AWS 실습 프로젝트를 한 번에!

대부분의 인프라 강의가 인프라에 대한 이론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강의에서는 인프라를 공부하며 꼭 알아야 하는 개념과 더불어 AWS 실습을 함께 하며 실무에 적용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2

대용량 트래픽과 워크로드를
운영한 10년간의 업무 노하우

인프라에 대한 지식을 쌓는 일은 많은 경험이 필요합니다. 대용량 트래픽과 다양한 워크로드들을 경험해 보았으며, 현업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로 일하고 계신 엔지니어들이 실무에서 필요한 모든 IT 인프라 지식을 알려 드립니다.

3

백엔드 · 인프라 · 데브옵스
모든 직군에 필요한 필수 지식

대부분의 인프라 강의는 인프라 엔지니어를 겨냥한 강의로,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보다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 특정 분야에만 국한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강의는 백엔드 개발자와 인프라 · 데브옵스 엔지니어 모두에게 필요한 인프라 지식들을 담았습니다.

수강 대상

이런 분들은 꼭 들으셔야 해요!


서버, 네트워크, 보안 등 컴퓨터 사이언스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어 답답함을 느끼며
개발을 하고 있는 IT 비전공자


인프라에 대한 실무 역량을 더 키우고 싶은
주니어 인프라 엔지니어 및
데브옵스 엔지니어


코드 이외의 전반적인 아키텍처를 보는
뷰를 넓혀 레벨업을 하고 싶은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강사소개

우리 강사님을 소개할게요!

인프라 강의
정보람
이력사항
  • (현) M사 솔루션 아키텍트
  • (전) AWS 솔루션 아키텍트
  • (전) 카카오뱅크 백엔드 개발자
  • (전) 한화테크윈 임베디드 개발자
인프라 강의
공혜원
이력사항
  • (현) M사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 (전)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DevOps 시스템 엔지니어
  • (전) 메가존 AWS 솔루션 아키텍트
  • (전) 넥슨 레드 IT 인프라 엔지니어
  • (전) 스콥 정보통신 기술지원 엔지니어

1.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정보람
안녕하세요. 저는 10년 정도 임베디드 개발과 금융 개발을 하다가, 현재는 솔루션즈 아키텍트로 근무중인 정보람입니다.
경력에 있는 것처럼 대용량 트래픽과 다양한 워크로드들을 경험해 볼 수 있는 회사들을 다녔었는데,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궁금했던 점은 내가 작성한 코드가 어떻게 사용자에게 딜리버리되는 것일까 였습니다. 그렇게 인프라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니 새로운 뷰가 생기더군요.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인프라 구성을 통해 쉽게 개선하는 경험도 하고, 그럴수록 더 깊게 인프라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워낙에 분야가 세분화되어 있고, 아직까지 인프라의 개념이 개발과 혼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어디서 부터 무엇을 공부해 나가야할 지 막막하더군요. 이런 저의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내용을 카테고리화하고 그 중 꼭 알았으면 하는 개념들을 강의로 만들어 봤습니다. 주니어 엔지니어들, 그리고 비IT 전공자로서 개발자를 하고 있는 멋진 친구들에게 이 강의를 추천합니다.

공혜원
안녕하세요, 저는 IT 엔지니어로 10년간 업무를 한 공혜원입니다.
L2단 솔루션 장비를 시작으로 B2C, B2B 대상의 기술 지원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인식에서 IT하면 아직 개발을 중점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서는 개발 뿐 아니라 인프라도 탄탄하게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IT 업계에서의 경험이 늘어날 수록 인프라에 대한 기본, 기초 지식과 활용 여부가 중요해지고 있음을 깨닫고 보다 쉽게 인프라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강의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마음으로 즐겁게 강의를 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 강의에서는 주로 어떤 내용을 다룰 예정이시고, 어떤 형태로 진행되나요?

다양한 내용을 카테고리화하고 그 중 꼭 알았으면 하는 개념들을 강의로 만들어 봤습니다. 강의는 분야 별로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수강생이 생각하기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야를 쉽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3. 본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수강생 분들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넓은 지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인프라 관련 자격증, 예를 들어 클라우드 베이스의 자격증을 딸 때 Solution Architect, DevOps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실 때 기본이 되는 강의입니다.

4. 주로 어떤 분야에 있는 분들이 수강 대상에 적합할까요?

주니어 인프라 엔지니어,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비IT 전공 개발자 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오랜 기간 개발을 하더라도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학습 하기가 힘듭니다. 이 강의에서는 인프라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기초, 심화 학습등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때문에 경험이 아직 부족한 주니어 레벨 수강생들에게 그 동안의 경험을 잘 정리해 전달 드리고 싶습니다.

5. 다른 강의와 어떤 차별점이 있나요?

IT에는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영역을 어떻게 학습해야 할 지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들 느낍니다.
저희 강의에서는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넓은 범위의 주제들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시작하는 단계의 수강생 분들께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6. 마지막으로 수강생들에게 하고 싶으신 말이 있다면?

IT가 워낙에 분야가 세분화되어 있고, 아직까지 인프라의 개념이 개발과 혼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어디서 부터 무엇을 공부해 나가야할 지 막막하더군요. 이런 저의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내용을 카테고리화하고 그 중 꼭 알았으면 하는 개념들을 강의로 만들어 봤습니다. 주니어 엔지니어들, 그리고 비IT 전공자로서 개발자를 하고 있는 멋진 친구들에게 이 강의를 추천합니다.

커리큘럼 (45)

  • SECTION 1. 인프라스트럭처란?

    00:51:21

    1-1. 데이터센터의 구성

    00:11:47

    1-2.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성

    00:09:53

    1-3.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00:07:04

    1-4.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단계

    00:07:42

    1-5. [실습] AWS에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00:14:55
  • SECTION 2. 네트워크의 이해

    01:19:31

    2-1. OSI 모델 (1)

    00:13:14

    2-2. OSI 모델 (2)

    00:11:45

    2-3.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들 (1)

    00:09:45

    2-4.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들 (2)

    00:12:49

    2-5.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비교

    00:13:30

    2-6.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네트워킹

    00:18:28
  • SECTION 3. 가상화 기술의 이해

    00:52:52

    3-1. 가상화 기술의 역사와 하이퍼바이저

    00:03:38

    3-2. 하이퍼바이저의 종류와 동작방식의 이해

    00:05:45

    3-3. 컨테이너 기술 : LXC와 Docker

    00:07:13

    3-4.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00:09:19

    3-5. [실습] EKS에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1)

    00:12:19

    3-6. [실습] EKS에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2)

    00:14:38
  • SECTION 4. 스토리지 기술의 이해

    01:01:22

    4-1. 스토리지 종류 : SAN, DAS, NAS

    00:14:21

    4-2. 클라우드 스토리지 종류 : Object, Block, File

    00:05:29

    4-3. 스토리지 종류 선택

    00:14:06

    4-4. [실습] 스토리지 구성해보기 (1)

    00:17:52

    4-5. [실습] 스토리지 구성해보기 (2)

    00:09:34
  • SECTION 5.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이해

    00:58:39

    5-1. 데이터 아키텍처의 변화

    00:05:31

    5-2. 정형 데이터 vs 비정형 데이터

    00:05:20

    5-3. 데이터베이스

    00:08:18

    5-4. SQL vs NoSQL

    00:12:14

    5-5. 데이터베이스 종류

    00:07:29

    5-6. Data Warehouse, Data Lake, Data Mart

    00:10:13

    5-7. [실습] Amazon Athena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00:09:34
  • SECTION 6. 보안 기초

    01:19:56

    6-1. 인프라 보안이란?

    00:10:47

    6-2. 클라우드의 보안

    00:09:22

    6-3. 암호화

    00:06:26

    6-4. 방화벽

    00:20:58

    6-5. 위협 인텔리전스

    00:11:38

    6-6. [실습]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이용해보기

    00:20:45
  • SECTION 7. 모니터링&로깅

    00:39:47

    7-1.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종류

    00:11:14

    7-2. 이벤트 모니터링 : Prometheus

    00:07:19

    7-3. 성능 모니터링 :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00:04:23

    7-4. 클라우드에서의 모니터링 (CloudWatch)

    00:05:19

    7-5. [실습] Amazon Prometheus를 사용하여 Amazon EKS 메트릭 수집

    00:11:32
  • SECTION 8. CI/CD

    00:50:56

    8-1. CI/CD란?

    00:08:15

    8-2. DevOps와 Agile

    00:06:14

    8-3. 클라우드 CI/CD

    00:14:33

    8-4. Git이란?

    00:08:22

    8-5.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00:13:32

커리어 성장으로 가는 길, 러닝스푼즈와 함께 하세요!

지금 보고 계시는 강의의 관련 태그로 다른 강의도 찾아보세요.

온라인

Essential infra : 8시간으로 완성하는 필수 클라우드 & IT 인프라

매일 선착순 20명 한정! 할인가 확인하고 커리어 성장하세요!

강의찾기